html5에서 제외된 longdesc를 살릴수 있을까?

한창 요즘 메일링에 북적북적 활발히 활동하는 글들이 '부산 kwag 스터디 모임'의 모임 후기들입니다. HTML의 요소 하나하나들을 짚어가며 공부하고 계시는데 지난번 모임때 LONGDESC 에 대한 의문점과 토론들을 하셨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안그래도 최근 번역하던 글들중에 "rebuildingtheweb.com" 에서 longdesc속성을 정의 하며 토론하기에 번역해서 올려드립니다. 꾸준히 토론하시고 공부하시길!

참고로 longdesc 속성은 long description '긴 설명'을 줄인 말로 이미지에 대체 텍스트 ALT 와 함께 쓰이는 속성입니다. 보통 외부 html과 연결이 되곤 하는데요. <img src="graph.gif" alt="graph image" longdesc="graphdescription.html" /> 이렇게 사용하면서 alt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표현을 할수 있는 대체적인 방법입니다. 접근성을 높이는 용도이지만 실제적으로 거의 사용되지 않을 뿐더러 많은 기술적인 문제도 따랐기에 HTML5 에서 빼버린 속성입니다.

이 글은 rebuildingtheweb의 Vlad Alexander가 제시한 "어떻게 하면 longdesc속성을 살릴수 있을까?" 를 번역한 글입니다. 최근 HTML5에서 제외되면서 이 속성에 대한 재조명들이 이루어지고 결론적으로 불필요 하다 라는 방향으로 가는 중에 생각해 볼만한 글이 올라왔군요. 저도 한창 고민하던 부분이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어떻게 하면 longdesc 를 구할수 있는가?

longdesc 속성은 유용하게 쓰일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HTML 접근성 Accessiblity Task Force 에서도 고려해주기를 바랬음에도 불구하고 HTML5 스팩에서 제외되었다. 이 longdesc 를 제외하기로 한 결정은 HTML5 팀의 개으른 반응법을 보여주었다. "이 속성은 잘 안쓰이니까 버리지 머." 물론 그렇다고 Task Force 가 원하는데로 longdesc 가 재활성화 된다고 해도 개발자들이 열심히 쓰는 것은 아니다. 두 기관이 자신들의 의무를 다시한번 상기하고 나아간다면 올바른 해결책이 나오리라 생각 된다.

HTML5 팀의 의무

HTML5팀은 HTML5가 현재 어떻게 쓰이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그것을 기반으로 longdesc의 가치를 바라보며 비인기적이며 현실적으로 의도에 맞게 잘 쓰이지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 '어떻게' longdesc 의 사용에 대한 문제점이 고쳐질수 있는지는 묻지 않았다. 어떻게 HTML이 잘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무를 바라봤을뿐 어떻게 해야 잘 사용되느냐에 대한 질문을 하지 못했다.

접근성 전문가들의 의무

접근성 전문가들의 의무는 단순히 longdesc를 HTML5에서 재활성화 시키는것 이상에 있다. 이 속성에 대한 유저와 브라우저 밴더들이 바라보는 시각을 사용할만한 기능을 가진 속성이 되도록 바꿔주어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이 개발자들의 시각에서 왜 longdesc 속성이 비인기적인 요소인지를 바라보아야 한다.

한가지 제안하는 해결책

상위 WYSIWYG 에디터 개발자중의 한명이자 컨텐츠 개발자들과 꾸준한 교류를 나누는 사람으로써 longdesc 가 제대로 사용되지 않은 이유를 들자면 longdesc와 그와 연관된 속성 alt 가 HTML 스팩에서 제대로 정의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러다 보니 리포트나 기사, 강좌, 레퍼런스같은 파생적인 사용들에서 잘못된 사용을 보여주게 되고 그것들을 통해 브라우저와 Tool 벤더들이 무턱대고 불규칙적인 기능들로 사용하게 되어 버린 것이다.

많은 퍼블리셔들, 컨텐츠 개발자들이 불행하게도 alt 속성은 이미지의 짧은 설명을 삽입하고 longdesc에는 더욱 긴 설명을 삽입한다고 이해하고 있다. 글 쓰는 이들의 관점으로 보면 이것은 당연히 헛갈리는 부분이다. 그들은 '왜 내가 짧게 설명하고 나중에 또 길게 똑같은것을 써야 하는가?" 라고 질문하며 왜 이것이 제대로 사용될수 없는지 증명해준다. [일모리: img 태그 안에 alt 와 longdesc를 같이 삽입하다보니 '왜 똑같은걸 2번 쓰는가'를 의미하는듯 하다.]

그렇다면 앞으로 alt는 이미지의 '문자적인 대체' 로 속성을 정의하고, 콘텐츠 안의 이미지의 '설명'을 longdesc로 정의해보면 어떨까 제안해본다. 미묘한 차이이지만 의미있는 중요한 차이점으로 단순히 글자의 숫자에 반영하는 것이 아닌 의미적으로 둘의 선을 확실히 그어준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변화된 결과는 접근성 뿐만 아니라 개발 벤더들에게도 의미있는 인터페이스 개발의 도움을 주게 될것이며 글을 작성하는 사람들에게도 올바른 컨텐츠를 작성토록 도움을 줄 것이다. longdesc 속성의 약정을 충당하기에 아직 늦지 않았다. alt 와 longdesc가 어떻게 쓰여져야 할지 HTML 레퍼런스와 글들, 강좌들을 업데이트 할수 있다. (늦지 않았다) 브라우저 벤더들에게 alt 와 longdesc가 어떻게 렌더링되어야 하는지 해석 되어야 하는지 보여주고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어떤 이득과 도움을 주는지 알려주자.

결론

단순히 longdesc를 HTML5에서 다시 살린다고 해서 웹이 더 접근하기 쉽도록 변하지 않는다. 대신 longdesc같이 접근성 기능들을 인기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HTML5 팀과 접근성 전문가들의 의무이다. 그리고 그것의 한 방법이 alt 속성과 longdesc 속성을 제대로 정의하여 브라우저 벤더들과 제작자들 퍼블리셔들이 쉽게 적용하고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모리: 이것은 상당히 흥미롭다. 글자수에 따라 longdesc와 alt를 구별하기 보다는 그 의미에서 구별하여 벤더들과 개발자들이 정확히 선을 그을수 있도록 하자 라는건 longdesc 뿐만이 아니라 이미지의 접근성에 대한 시각을 바로 볼수 있도록 눈을 열어주는듯 하다. 물론 longdesc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점도 많다. 특별히 댓글부분에 대한 해석을 되도록이면 하지 않았다. 우리에게도 이제 이러한 글들에 대한 바른 해석과 토론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능력이 충분히 생겼다고 생각한다.